분류 전체보기 (5) 썸네일형 리스트형 What is a Linear Regression? Background Learn about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past - Tamil Proverb Many people make decisions based on past experience as the above proverb shows. However, can machines make good guesses on the future given past information? Machine Learning's prime goal is to build a model using data and to predict the future using the model. According to Sung Kim's lecture on Machine Learning, there are .. 트래픽에 대해서 알아보자 조사를 하다보니 트래픽이란 단어가 많이 나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번시간은 트래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트래픽이란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 수록 트래픽이 증가한다. 트래픽이 서버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들어올 경우, 서버는 버티지 못하고 다운되어 버린다. 예시로, 호스팅 서비스에서 특히 트래픽이라는 말이 많이 발견되는데 호스팅 서비스에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용량의 트래픽을 준다. 이때의 트래픽은 회선을 타고 오가는 데이터의 총량이다. 만약 월 100MB 용량의 트래픽을 사용하겠다고 계약한 사용자가 1MB용량의 이미지 서비스를 하는데, 100개의 이미지가 접소자들에게 제공된 경우, 트래픽을 초과하게 되어 사용자는 더 많은 돈을 지.. 방화벽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번 프로젝트 주제가 방화벽이 있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원격으로 끄는 것이니 만큼 방화벽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방화벽이란 트래픽을 모니터링해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경계 방어 툴이다. 방화벽은 대부분 트래픽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시스템을 구성,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방화벽들이 많이 발전되어서 방화벽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 현재 대부분의 방화벽은 알려진 위협을 차단하고 고급 접근 제어 목록 정책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트래픽의 개별 패킷을 심층 조사하고 패킷을 테스트해 안전성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다. 방화벽의 종류 1.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패킷 필터링은 말 그대로 패킷의 Header를 검사하고 그 전체 패킷의 승인 여부를 .. 라즈베리파이를 Wake/Sleep On Lan 서버로 만들어보자 우리는 살면서 집이나 회사에 저장되어 있는 많은 자료들을 가져와야 할 상황이 온다. 예를들어 여행이나 출장을 위해 타 지방에 가는 경우이다. 원격으로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컴퓨터는 항상 켜져 있어야한다. 이는 어쩌다 한 번 컴퓨터에 접근하기 위해 긴 시간을 컴퓨터를 항상 켜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전력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더 큰 관점으로 보았을 때,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며, 결론적으로 북극곰의 보금자리를 앗아가게 된다. 이제 전력소모가 아주 적은 라즈베리 파이를 Wake/Sleep on Lan 서버로 사용하여 어떻게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고 끌 수 있게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Step1. 서버로 쓸 라즈베리파이를 하나 구매하자. 그리고 라즈베리파이에 OS 및 고정 IP를 설.. 프로젝트 소개 2019-1학기 실전프로젝트2 홍신교수님 S-lab 스터디 블루팀 이번 학기 프로젝트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방화벽이 있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의 전원 끄기 프로젝트 일명 '북극곰 살리기 프로젝트' 입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