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를 하다보니 트래픽이란 단어가
많이 나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번시간은 트래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트래픽이란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 수록 트래픽이 증가한다.
트래픽이 서버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들어올 경우, 서버는 버티지 못하고 다운되어 버린다.
예시로, 호스팅 서비스에서 특히 트래픽이라는 말이 많이 발견되는데
호스팅 서비스에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용량의 트래픽을 준다.
이때의 트래픽은 회선을 타고 오가는 데이터의 총량이다.
만약 월 100MB 용량의 트래픽을 사용하겠다고 계약한 사용자가
1MB용량의 이미지 서비스를 하는데, 100개의 이미지가 접소자들에게 제공된 경우,
트래픽을 초과하게 되어 사용자는 더 많은 돈을 지불하게 되거나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게 된다.
'실전프로젝트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벽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3.30 |
---|---|
라즈베리파이를 Wake/Sleep On Lan 서버로 만들어보자 (0) | 2019.03.30 |
프로젝트 소개 (0) | 2019.03.30 |